iPhone의 브라우징 & 작업 전환 속도를 높이고 다시 새 것처럼 실행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몇 가지 간단한 설정이 있습니다. iPhone 속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몇가지 설정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- 저장 공간 정리
iPhone이 느려질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 중 하나는 저장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 저장 공간이 부족하면 iPhone은 필요한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 더 많은 작업을 해야 하므로 성능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. 저장 공간을 확보하려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앱이나 파일을 삭제하여 시작할 수 있습니다. 아이폰 설정 → 일반 → iPhone 저장 공간으로 이동하여 모든 앱 목록과 앱이 차지하는 공간을 확인하십시오. 여기에서 필요하지 않은 앱이나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.
- 백그라운드 앱 새로 고침 비활성화
백그라운드 앱 새로 고침은 앱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콘텐츠를 새로 고칠 수 있는 기능입니다. 이 기능은 유용할 수 있지만 귀중한 리소스를 소모하여 iPhone 속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습니다. 백그라운드 앱 새로 고침을 비활성화하려면 아이폰 설정 → 일반 → 백그라운드 앱 새로 고침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끕니다.
- 위치 서비스 끄기
위치 서비스는 앱이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. 이것은 특정 앱에 유용할 수 있지만 많은 리소스를 소비하고 iPhone 속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습니다. 위치 서비스를 끄려면 아이폰 설정 → 개인 정보 보호 → 위치 서비스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끕니다. 또는 필요하지 않은 특정 앱에 대해 위치 서비스를 끌 수 있습니다.
- 움직임 줄이기
모션 감소는 앱을 열고 닫을 때, 화면을 전환할 때 모션 효과를 줄이는 기능입니다. 이러한 효과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일 수 있지만 리소스를 소모하여 iPhone 속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습니다. 움직임을 줄이려면 아이폰 설정 > 접근성 > 움직임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켜십시오.
- 자동 다운로드 비활성화
자동 다운로드는 iPhone에서 앱, 음악 및 책의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 이것은 유용할 수 있지만 리소스를 소비하여 iPhone 속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습니다. 자동 다운로드를 비활성화하려면 아이폰 설정 > iTunes 및 App Store로 이동하고 업데이트, 음악 및 책 옆의 스위치를 끕니다.
- 아이폰 설정 수정
1) 아이폰 설정 → Safari 탭 → [개인정보 보호 광고 측정] 탭을 꺼주시면 발열이 확 줄어듭니다. 그리고, [Apple Pay 확인]을 꺼주세요. 사파리 브라우징 속도가 약 3배정도 상승하며 실시간으로 NFC 태그가 뜨는 것을 방지해줍니다.
2) 아이폰 설정 → [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] 탭 → [분석 및 향상] → [iPhone 분석 공유]를 꺼주세요. 개인정보를 애플이 보관하는 것을 막아줍니다.
3) 아이폰 설정 → [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] 탭 → [추적] → [앱이 추정을 요청하도록 허용]을 꺼주세요.
애플페이 확인을 꺼주세요 브라우징 속도가 약 3배 상승되며 실시간으로 NFC 태그가 뜨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3 설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들어가 분석 및 향상해서 아이폰 분석 공유를 꺼주세요 여러 개인 정보를 애플이 보관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자
4) 아이폰 설정 → [일반] → [백그라운드 앱 새로고침] → 전체를 꺼주시거나 추정 허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앱을 꺼주세요.
위의 이 방법은 애플 홈페이지에서 배터리 소모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인정한 사실입니다. 이 간단한 팁을 따르면 iPhone 속도를 높이고 다시 새 것처럼 실행할 수 있습니다. 기기를 재설정하거나 캐시를 지우는 것과 같이 iPhone 속도를 높이는 다른 고급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간단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좋은 시작점입니다.
'정보 > 애플 아이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폰 신기능 통화 음성 분리 설정하는 방법, 통화 잘들리게 설정 (1) | 2023.04.10 |
---|---|
토스 앱으로 내 주변 애플페이 결제 매장 손쉽게 찾기 (0) | 2023.04.06 |
애플스토어 6호점 홍대점 위치, 지방 첫! 매장 7호점 애플 부산 정리 (1) | 2023.04.03 |
댓글